연금저축·IRP ETF 투자 시작하기 💰 결혼 후 새롭게 세운 연금 전략
결혼 전까지 저는 매년 연말정산을 위해 연금저축과 IRP를 꾸준히 채워왔어요.
세액공제를 최대로 받을 수 있도록 매년 한도(연 900만 원)를 꽉 채우는 것이 목표였고, 실제로 절세 효과도 꽤 볼 수 있었죠.
하지만 문제는 **“관리”**였습니다. 연금계좌 안에 돈을 넣어두기만 하고, 어떤 상품에 투자되는지도 모르고 방치한 결과… 수익률은 거의 제자리였습니다. 😅
결혼을 하고 나서는 생각이 달라졌어요.
“이렇게 큰돈이 30년 동안 묶여 있는데, 수익률이 1~2%라면 너무 아깝다”는 현실적인 고민이 시작된 거예요. 그래서 남편과 상의 끝에 앞으로는 연금저축과 IRP를 ETF 중심으로 직접 운용하기로 했습니다.
📌 연금저축·IRP, 단순 절세용에서 투자 자산으로
많은 사람들이 저처럼 연금저축을 “연말정산용 절세 수단”으로만 생각합니다.
실제로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 혜택이 커요.
- 연금저축: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
- IRP(퇴직연금 포함):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
- 두 계좌 합산: 최대 900만 원까지 가능
👉 하지만 세금 혜택이 끝이 아닙니다.
이제 중요한 건 **“어떻게 운용하느냐”**입니다.
10년, 20년, 길게는 30년 동안 돈을 묶어두는 계좌이기 때문에, 이 안에서 어떤 상품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노후 자산 규모가 2~3배 이상 달라질 수 있어요.
저 역시 그 사실을 결혼 후에야 제대로 깨달았어요.
“그냥 예금처럼 방치하는 건 가장 비효율적인 방법”이라는 걸요.
📈 ETF 투자로 연금저축 수익률 높이기
저와 남편이 새롭게 세운 전략은 간단합니다.
매달 각각 50만 원씩 연금저축·IRP 계좌에 넣고, 그 돈으로 ETF에 투자하는 거예요.
예를 들어 이런 식이죠:
- 국내 시장 ETF: KOSPI200, 배당주 ETF
- 해외 시장 ETF: S&P500, 나스닥100
- 장기 채권 ETF: 안정성 확보용
이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예·적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연금저축 계좌 안에서 ETF에 투자하면 매매차익·배당소득에 대해 과세 이연 효과도 누릴 수 있어요. 즉, 세금을 나중에 연금 수령 시점에 내기 때문에 복리 효과가 극대화되는 거죠 📈
💡 TIP: 처음부터 너무 공격적으로 가지 말고, 60~70%는 지수 ETF처럼 장기 우상향하는 자산에 투자하고, 30~40%는 배당 ETF나 채권 ETF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🤝 부부가 함께 만드는 장기 연금 전략
결혼 전엔 “내 연금”이라는 생각만 했지만, 결혼 후엔 시야가 달라집니다.
“우리의 노후 자산”이라는 개념이 생기니까요.
저희 부부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세웠어요 👇
- ✅ 매달 각각 50만 원씩 연금저축·IRP에 납입 (합산 월 100만 원)
- ✅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은 그대로 누린다
- ✅ ETF 중심 운용으로 수익률을 기존 예금 대비 3~5배까지 높이는 게 목표
- ✅ 매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(재조정) 1회 이상 진행
이렇게만 해도 20~30년 후 우리 노후 자산 규모는 훨씬 달라질 거예요.
예전엔 연금저축이 ‘세금 줄이는 통장’이라면, 이제는 ‘노후 자산을 불리는 투자 계좌’가 되는 거죠 💡
✨ 마무리 – 연금저축·IRP는 “방치”가 아니라 “운용”이다
결혼 전에는 연말정산 시즌마다 “올해도 세액공제 채워야지!” 하고 넣기만 했지만, 이제는 다르게 생각합니다.
연금저축·IRP는 장기 복리 자산이에요. 20~30년 동안 묶이는 돈인 만큼, 단순히 절세만 바라볼 게 아니라 ETF 등으로 적극 운용해서 불리는 게 훨씬 현명합니다.
앞으로 저희 부부는 꾸준히 공부하고, 투자 경험을 쌓으면서 연금저축을 진짜 자산으로 만들 계획이에요.
지금까지 방치해뒀다면, 지금이 바로 투자 관리 전략을 다시 세워볼 가장 좋은 때입니다 🌱
'신혼부부 결혼생활기 & 가계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신혼부부 26평 8월 아파트 관리비 공개,🏠 여름과 겨울은 얼마나 차이날까? (0) | 2025.09.27 |
---|---|
2025 신혼부부 돈 문제로 싸우는 이유💸, 우리는 이렇게 예방하고 있어요 (0) | 2025.09.25 |
2025 연봉 2억 신혼부부 생활비💰 나누는 방법, 우리는 이렇게 관리하고 있어요 (0) | 2025.09.23 |
2025 부부 용돈 30만 원, 실제 가능할까? 💸(신혼부부 가계부 이야기) (0) | 2025.09.21 |
2025 신혼부부 505장 식권, 결혼 축의금 규모는? 신부의 솔직 후기 (현실 후기) (0) | 2025.09.19 |